사이시옷1 사이시옷 규정 습관적으로 [뒤에오는 발음이 된소리가 날때]는 사이 ㅅ을 붙이지만 습관적으로 옛날 부터 두개의 실질형태소가 결합된 합성어일지라도 뒤에 오는 발음이 된소리가 나지 않으면 사이 ㅅ을 붙이지 않습니다. 한자어는 6개만 허용하고 있으나. 북한에서는 습관적으로 된소리가 나도 사이 ㅅ규정에서 사 ㅅ을 붙이지 않아 남북한어의 혼란이 이규정에서 남북의 언어가 다르다고 볼수 있습니다. 북한어의 정의는 실질형태소 두개가 합성되면 당연이 된소리로 발음할수 있다는 생각입니다. 3.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(庫間) 셋방(貰房) 숫자(數字) 찻간(車間) 툇간(退間) 횟수(回數) (1) 고유어끼리 결합한 합성어( 및 이에 준하는 구조) 또는 고유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합성어 중, 앞 단어의 끝 모음 뒤가 폐쇄되는 구조로서, .. 2010. 2. 10. 이전 1 다음